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조경학 이론과 설계를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4. 10.

    by. chloe2

    목차

      1.조경학에서의 공원 동선계획의 중요성

      동선계획의 정의와 목적

      조경학(Landscape Architecture)에서 동선계획(Circulation Planning)은 공원(Park) 설계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선계획이란 물리적 공간 안에서 사람, 동물, 차량 등이 이동하는 경로를 설계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공간 사용자(User)의 행동 패턴과 이용 목적, 환경적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원의 동선은 단순히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제공에 그치지 않는다. 공간 내 체류성(Stayability), 시각적 경험(Viewing Experience), 정서적 반응(Affective Response) 등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적 요소와 직결된다.

      특히 공원 동선계획은 조경학에서 '환경 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과 '행태학(Behavioral Science)'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고도화되어왔다. 공공공간에서 인간의 이동 패턴은 자연적 본능에 가까운 경로 최적화 원칙을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조경학적 설계 원리 중 '최단 경로의 법칙(Principle of Least Effort)' 또는 'Desire Line Theory'로 설명된다. 사용자는 본능적으로 가장 빠르고 쾌적하며 장애물이 없는 경로를 선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설계자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이러한 인간 행동 패턴을 충분히 고려한 동선 계획을 수립해야 공원의 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조경학 관점에서 본 공원 동선계획 이론과 흐름 디자인

      공원 동선계획의 핵심 설계 원칙

      1. 접근성(Accessibility) 확보: 동선계획의 첫 번째 원칙은 공원 접근성의 극대화이다. 이는 입구(Entrance), 주요 시설물(Core Facilities), 휴식공간(Rest Areas), 화장실(Restroom) 등 사용자 니즈가 높은 공간 간 이동을 용이하게 해야 함을 의미한다. 접근성 강화를 위해 주요 진입부를 넓히거나 시각적 안내 요소(Signal Element)를 활용한 방향 유도(Signage)가 필요하다.
      2. 안전성(Safety) 확보: 동선의 폭(Breadth), 재질(Material), 교차점(Intersection) 설계 등 물리적 요소들이 안전성과 직결된다. 국제조경학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IFLA)에서는 공공공간 동선 설계시 유모차, 휠체어 등 이동약자를 고려한 설계를 필수로 권장하고 있다.
      3. 연속성(Continuity) 유지: 공원의 전체 공간이 동선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는 '연계성(Linkage)'과 '가독성(Legibility)' 개념과도 연결된다. 공원 내 주요 거점 간 동선 단절은 이용자의 공간 활용도를 저해한다.
      4. 쾌적성(Comfort) 증대: 공원의 동선은 그 자체가 하나의 경관요소(Landscape Element)로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연 식생(Planting), 수경시설(Water Feature), 조형물(Structure) 등 경관 요소와 동선의 조화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를 높인다.

      공원 동선계획의 이론적 모델 적용

      대표적으로 공원 동선계획에 적용되는 이론적 모델은 '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론(Image of the City, 1960)'과 'Jan Gehl의 공공공간 행태이론(Life Between Buildings, 1987)'이 있다. Lynch는 공간 내 '경로(Path)', '경계(Edge)', '구역(District)', '결절점(Node)', '표지물(Landmark)'의 5대 요소를 통해 이용자의 공간 인지 및 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Gehl은 인간의 활동 유형을 '필수적 활동', '선택적 활동', '사회적 활동'으로 구분하여 동선 설계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표 1. 공원 동선계획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설계 원칙 및 이론

      구분 설계 원칙 주요 개념 학술적 근거
      이동 최적화 최단 경로 설계 Desire Line Theory Gehl (1987), Whyte (1980)
      공간 연결성 결절점 확보 Node & Link Theory Lynch (1960)
      이용자 안전 Barrier Free Design Universal Design IFLA Guidelines
      이용자 경험 경관 요소 통합 Visual Sequence Design Kaplan & Kaplan (1989)

       

      2.조경학적 이론을 통한 공원 동선 설계

      공원 동선 설계의 이론적 배경

      공원 동선 설계는 단순히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적 수단을 넘어 공원의 이용행태(Use Pattern), 공간 경험(Space Experience), 정서적 가치(Affective Value) 창출을 위한 전략적 설계 행위로 인식된다. 공원 동선은 물리적 경로(Physical Pathway)와 심리적 경로(Psychological Pathway)의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관점은 '공간 행동이론(Space Behavior Theory)'과 '경험 디자인 이론(Experience Design Theory)'을 통해 학문적으로 확장되어왔다.

      행동이론 관점에서는 공간 사용자의 이동행위가 물리적 조건 외에도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William H. Whyte(1980)는 도시공간 내 사람들의 행동과 머무름 패턴을 실증 분석하여 동선계획에 반영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공원의 주요 거점 간의 동선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조경학 기반 공원 동선 설계 원리

      공원 동선 설계 시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조경학 기반 원리들은 다음과 같다.

      1. 경로 계층화(Path Hierarchy): 주요 동선(Main Path), 부동선(Sub Path), 보조동선(Auxiliary Path)으로 동선을 계층화하여 공원 이용자의 이동 목적별 경로를 구분한다.
      2. 결절점 설계(Node Design): Kevin Lynch의 이론에 따라 공원 내 결절점을 강화하여 이용자 인지도를 높이고 동선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3. 공간 연계성 강화(Spatial Linkage): 주요 시설물 및 테마구역 간 시각적 연계 및 동선 직관성을 확보한다.
      4. 자연환경 통합(Nature Integration): 자연지형 및 기존 수목자원을 최대한 보존하고 이를 동선 설계에 적극 활용한다.

      조경학 이론 적용 사례 분석

      서울숲 공원 사례

      서울숲 공원은 국내 대표적인 동선계획 우수 사례로 평가된다. 이 공원은 주변 도시구조와 공원의 내외부 동선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공간 이용성을 극대화하였다. 주요 진입부와 테마 공간 간 경로를 자연 지형과 조화롭게 설계하고, 경관 자원 활용도를 높여 다양한 공원 이용 행태를 수용하였다.

      해외 사례: 하이라인 파크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는 공원 동선 설계의 선진 사례로 손꼽힌다. 폐철도를 공원으로 재생한 이 프로젝트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면서도 새로운 동선 패턴을 설계하여 도시재생 효과와 공원 기능성을 극대화하였다. 경관적 요소와 동선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다양한 경관경험과 이동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3.조경학 관점의 흐름 디자인 적용과 구체 사례

      흐름 디자인의 개념과 조경학적 정의

      조경학에서 흐름 디자인(Flow Design)이란 공간 내 이동 경로와 경관 요소 간의 유기적 연결성과 시퀀스(Sequence)를 설계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흐름 디자인은 공원의 공간 구성과 동선 설계에 있어 사람들의 이동 경험을 물리적·심리적 차원에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기법이다. 이는 Kevin Lynch(1960)의 '경로(Path)' 개념과 Jan Gehl(1987)의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이론을 기반으로 발전하였다.

      흐름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조경학적 원리를 갖는다.

      1. 경관 시퀀스(Visual Sequence): 동선을 따라 이동할 때 경관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느끼게 하는 설계 전략이다. 이는 공원의 긴장과 이완, 개방과 폐쇄, 채움과 비움의 리듬을 만들어내는 요소다.
      2. 경관 통합(Landscape Integration): 동선과 식재, 수경시설, 시설물 등의 물리적 경관 요소가 자연스럽게 통합되도록 설계한다.
      3. 행태적 흐름(Behavioral Flow): 공간 이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 패턴을 유도하는 경로 설계를 의미한다. 이는 Desire Line Theory와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흐름 디자인 적용 국내 사례

      서울숲 공원의 경관 흐름 디자인

      서울숲 공원은 자연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동선 흐름과 경관 변화를 조화롭게 설계하였다. 주요 입구에서 진입하면 조형적 식재 패턴과 수목 터널을 지나며 경관의 긴장감을 높이다가 주요 거점에서는 개방감을 제공한다. 이는 Lynch의 Edge 개념과 Visual Sequence 이론이 조경 설계에 성공적으로 반영된 사례다.

      해외 사례: 하이라인 파크의 흐름 디자인

      하이라인 파크는 폐철도를 공원으로 재생하면서 직선적 동선 구조 위에 다양하고 변화하는 경관 시퀀스를 도입하였다. 하이라인의 흐름 디자인은 좁은 동선에서도 자연경관, 도시경관, 예술 설치물 등을 통해 다양한 시각적 자극과 공간 체험을 제공하며, Gehl이 주장한 '행동 유도형 설계'의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4.조경학적 공원 동선계획 시 고려 요소와 설계 전략

      이용자 특성 분석

      공원 동선 설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이용자 특성 분석이다. 이는 행동행태조사(Behavioral Survey)와 이용실태조사(Usage Survey)를 통해 도출할 수 있으며, 연령별, 이용목적별, 시간대별 이용 행태 분석이 필수적이다.

      지형 및 생태환경 분석

      공원 설계 시 대상지 지형과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동선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지형 보존 설계(Natural Topography Preservation)는 최근 조경학의 주요 설계 기법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설계 전략

      전략명 내용 근거 이론
      보행자 중심 설계 보행 동선 최적화, Barrier-Free 설계 Universal Design, Gehl Theory
      자연 친화적 동선 설계 생태계 보호와 연계 Ecological Landscape Theory
      시퀀스 디자인 경관 변화 유도 Visual Sequence, Kaplan Theory

      5.조경학적 공원 동선계획의 미래적 방향성

      미래 공원 동선계획 방향

      1. 스마트 기술 접목(Smart Technology Integration): IoT 센서, 스마트 조명, AR 가이드 등을 활용한 동선 유도 및 관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 지속가능한 설계(Sustainable Design):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동선 재료 선택, 친환경 자재 활용, 빗물 재활용 시스템 등이 확대될 전망이다.
      3. 인간 중심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 이용자 심리와 행태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동선 설계가 더욱 강화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