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조경학 관점에서 본 폐공간 재생의 정의와 필요성
폐공간 재생의 정의
조경학(Landscape Architecture)에서 폐공간 재생(Abandoned Space Regeneration)은 기존에 방치되거나 활용도가 급격히 저하된 공간을 새로운 사회적·환경적 가치가 부여된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설계 전략을 의미한다. 폐공간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데, 폐공장, 폐철도, 폐주거지, 폐항만, 폐광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폐공간은 도시 내 물리적 단절을 초래하고, 범죄 발생 및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조경학적 관점에서는 폐공간을 단순히 개발이나 건축적 개입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생태적 복원(Ecological Restoration), 환경적 개선(Environmental Improvement), 사회문화적 활성화(Social Revitalization)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공간의 잠재력(Potential)을 발굴하고 환경친화적 설계기법을 통해 도시환경 개선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폐공간 재생의 필요성
- 도시 환경문제 해결
폐공간은 오랜 시간 방치되면서 토양오염, 불법투기, 도시 열섬현상(Urban Heat Island) 등을 초래하며, 조경적 접근을 통한 녹지화 및 생태계 복원 설계가 요구된다.
- 사회적 가치 창출
공원, 커뮤니티 가든, 도시농업 공간 등으로 전환하여 시민참여형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강화 및 지역 공동체 회복이 가능하다.
- 경제적 가치 향상
재생된 폐공간은 지역 브랜드 가치 증대와 관광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 경관적 가치 회복
도시 경관 미관을 개선하고, 지역의 정체성(Identity)과 역사적 맥락(Context)을 재해석하는 조경적 설계전략이 중요하다.
조경학 기반 폐공간 재생 설계 원리와 전략
생태적 복원 설계(Ecological Restoration Design)
생태적 복원이란 자연환경 파괴로 손상된 생태계를 원상복구하거나 개선하는 설계기법이다. 폐공간 내 토양 복원, 식생 복원, 수변 복원 등이 대표적이며, 조경학에서는 이러한 설계를 단계별로 체계화한다.
- 오염토 정화(Phytoremediation)
식물을 활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친환경적 기법으로, 폐산업부지나 폐광산 지역에서 적용된다.
- 자생식물 식재(Indigenous Planting)
지역 자생종 식재를 통해 생태적 안정성과 경관적 일체감을 도모한다.
커뮤니티 기반 설계(Community-Based Design)
주민참여형 설계 방식으로, 지역주민의 의견수렴 및 워크숍, 설문조사 등을 통해 공간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공간 이용자의 자율성, 주인의식, 지속적 관리 참여를 유도한다.
경관 네트워크 구축(Landscape Network Construction)
폐공간 재생 설계 시 주변 녹지축(Green Axis), 보행축(Pedestrian Axis), 생태축(Ecological Axis)을 고려하여 공원, 광장, 커뮤니티 공간 등을 연결하는 입체적 네트워크 설계가 필요하다.
표 - 조경학 기반 폐공간 재생 설계 전략 요약
설계 전략 주요 개념 적용 기법 학술적 근거 생태 복원 자연환경 회복 오염토 정화, 자생식물 식재 SER Guideline (2016) 커뮤니티 디자인 주민참여 설계 설문조사, 워크숍 Gehl (1987) 경관 네트워크 공간 연결성 강화 녹지축, 보행축 설계 Lynch (1960) 조경학 관점의 폐공간 경관복원 이론과 기법
경관복원의 정의
경관복원(Landscape Restoration)은 훼손되거나 파괴된 자연 및 인공경관을 생태적·심미적·사회문화적 가치가 결합된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설계 활동이다. 이는 조경학에서 경관미학(Landscape Aesthetics),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 등의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주요 기법
- 자연형 수변 복원(Naturalized Waterfront Restoration)
강, 하천, 호수 주변 폐공간을 자연형 호안설계 및 친수공간 조성을 통해 복원하는 기법이다.
- 경관녹지 확장(Green Infrastructure Expansion)
도시 내 녹지자원을 확충하고 경관연결성을 강화하여 도시열섬현상 저감 및 생물서식처 확보에 기여한다.
- 문화경관 복원(Cultural Landscape Restoration)
지역 고유의 역사적 경관 및 문화유산을 반영하여 공간 정체성과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경관 공간으로 설계한다.
조경학적 폐공간 재생 국내외 설계사례 분석
국내 사례: 서울숲 공원 재생
서울숲 공원은 과거 폐산업시설과 물류창고 부지를 복원·재생하여 시민 휴식공간과 생태공원으로 전환한 대표 사례이다. 자연지형 복원, 자생식물 식재, 커뮤니티 정원 조성 등 다층적 설계를 통해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사랑받는 공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해외 사례: 뉴욕 하이라인 파크
뉴욕 하이라인 파크는 폐철도 부지를 활용한 대표적 도시재생 사례로, 생태 복원 설계와 현대적 경관디자인이 결합된 공간이다. 기존 철도 구조물 보존, 자생 식재, 문화행사 공간 조성 등을 통해 관광명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해외 사례: 독일 뒤스부르크 노드 파크
독일의 뒤스부르크 노드 파크는 폐제철소 부지를 생태공원 및 문화공간으로 재생한 사례로, 산업유산 보존과 생태환경 복원 설계를 성공적으로 결합하였다.
조경학 기반 폐공간 재생 설계의 미래 전략
- 기후변화 대응 설계
극한 기후 및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생태복원 및 녹지확충 전략 강화가 필요하다.
- 디지털 기술 활용 설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GIS 분석, 환경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설계가 확대될 것이다.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설계
재생자재 활용, 빗물 재활용, 에너지 절감형 시설 설계 등 환경친화적 자원순환 시스템 설계가 중요하다.
'조경학 이론과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학 기반 경계이론과 공간 조직화 설계 전략 (0) 2025.04.11 조경학에서 본 배리어프리(Barrier-Free) 설계 적용 방안 (0) 2025.04.10 조경학 관점에서 본 공원 동선계획 이론과 흐름 디자인 (0) 2025.04.10 조경학 시각에서 본 생물다양성 중심 식재 디자인 방법 (0) 2025.04.09 조경학에서의 그린 인프라 전략과 도시 생태 네트워크 설계 (0)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