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조경학 이론과 설계를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4. 10.

    by. chloe2

    목차

      조경학에서 본 배리어프리(Barrier-Free) 설계 적용 방안

       

      조경학 관점에서 본 배리어프리 설계의 개념과 필요성

      배리어프리 설계의 정의

      조경학(Landscape Architecture)에서 배리어프리(Barrier-Free) 설계란 모든 사용자가 공간 내에서 신체적, 심리적 장벽 없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 요소를 제거하는 설계 원칙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 장벽을 제거하는 차원을 넘어, 환경적, 심리적, 정보적 배리어까지 고려하는 포괄적 설계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배리어프리 설계의 국제적 기준은 미국 장애인법(ADA,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1990), 일본 건축 기준법, 유럽연합 접근성 지침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한국에서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법"을 통해 공공시설 및 공원 설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조경학에서는 이러한 법적 기준을 넘어,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인클루시브 디자인(Inclusive Design)의 개념을 결합하여 공간 복지(Space Welfare)의 관점에서 배리어프리 설계를 실현하고 있다.

      배리어프리 설계의 필요성

      1. 초고령 사회 대응 한국은 2025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 인구 증가에 따른 공공공간 내 배리어프리 설계의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공원 및 도시 녹지 설계에서도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2. 공간 평등 실현 모든 사용자의 이동권과 공간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은 조경학적 설계의 핵심 윤리 원칙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공간 복지 실현과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시대적 요구와 맞닿아 있다.
      3. 국제 설계 기준 준수 조경설계는 국제적 설계 기준과 인증을 충족시켜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ADA, IFLA 가이드라인 등은 공원 및 공공 공간 설계의 필수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조경학 기반 배리어프리 설계 원리와 공간 구성 요소

      배리어프리 설계 원리

      배리어프리 설계의 실현을 위해서는 조경 설계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접근성과 안전성, 편의성, 다양성을 고려하는 설계 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첫째, 접근성 확보는 공간 진입부터 이동, 이용, 퇴장까지 전 구간에서 이동약자의 물리적 접근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사로 설계, 보행로 폭 확보, 단차 제거 등의 기술적 요소로 실현된다. 둘째, 안전성 확보는 공간 이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미끄럼 방지 포장재 사용, 조명 설계, 가드레일 설치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편의성 증대는 공간 내 휴게공간, 안내 시설, 음수대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공간 구성 전략이 요구된다. 넷째, 다양성 수용은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등 모든 사용자의 특성과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구성 방식이다.

      조경학적 공간 구성 요소

      조경 설계에서 배리어프리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 구성 요소와 세부 설계기법이 적용된다. 출입부 설계에서는 자동문, 무단차 출입구 설계가 기본이며, 보행로 설계에서는 최소 1.5m 이상의 보행 폭 확보, 가이드 레일, 점자 블록 설치가 요구된다. 휴게 공간 설계는 벤치 높이 조정, 팔걸이 설치, 휠체어 사용자 고려 공간이 포함되어야 하며, 화장실 설계는 장애인 화장실 기준에 맞춰 휠체어 회전 공간, 자동 개폐문, 세면대 높이 조절 등이 필수적이다.

       

      표 - 조경학 기반 배리어프리 공간 구성 요소 요약

      공간 구성 요소 설계 요소 주요 적용 기준 근거 자료
      출입부 설계 무단차 출입구, 자동문 ADA, KS 기준 ADA Guidelines (1990)
      보행로 설계 경사로, 가이드 레일, 점자블록 한국 편의증진법 KS P ISO 21542
      휴게공간 설계 벤치 높이, 팔걸이, 이동보조기기 공간 유니버설 디자인 Gehl (1987)
      화장실 설계 휠체어 회전공간, 자동 개폐문 장애인 편의증진법 KS 기준

       

      조경학 관점의 배리어프리 동선 설계 전략

      배리어프리 동선 계획 원칙

      배리어프리 동선 계획은 공간 내에서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선 설계 원칙이다. 동선 설계 시 주요 시설 간 최단 거리 확보, 동선 폭 기준 준수, 시각적·촉각적 안내 요소 설치, 교차로 및 경사로 설계 등이 포함된다. 특히 보행로 설계 시 단차 제거, 미끄럼 방지 포장재 사용, 점자 유도블록 설치 등이 필수적이다.

      공간 유형별 배리어프리 동선 설계 기법

      • 공원 입구 및 주 진입부 설계
      • 공원 내부 주요 시설 간 동선 설계
      • 휴게시설, 화장실, 음수대 등 보조시설 접근 동선 설계
      • 출구 및 비상대피 동선 설계

      배리어프리 동선 설계 전략은 공간의 이동 경로와 경관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는 조경학적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국내외 사례 연구에서는 동선 내 피로 경감 공간(Pocket Rest Space), 자연경관 활용형 동선 설계(Nature-Inspired Pathway Design), 유도형 안내 시스템(Interactive Wayfinding System)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특히 도시공원 및 역사문화 공간에서는 문화적 스토리텔링 요소와 배리어프리 설계를 융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배리어프리 동선 설계(Smart Barrier-Free Circulation Design)가 미래 조경 설계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AR 안내 기술, 모바일 경로안내 서비스, 장애물 자동 인식 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과 조경 설계의 융합을 의미한다.

       

      조경학적 배리어프리 설계 국내외 사례 분석

      국내 사례: 서울 어린이대공원

      국내 사례 중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배리어프리 설계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도시 내 노후 공원의 리모델링 시 필수적인 설계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입구부 경사로 설치, 보행자 안전가이드 레일, 시각장애인 안내 시스템 등 최신 설계 기술이 도입되었다. 해외 사례로는 일본 도쿄 신주쿠교엔(新宿御苑), 미국 보스턴 커먼(Boston Common) 등이 있다. 이들 공원은 ADA 기준을 충족하는 설계 외에도 지역 역사 및 문화적 가치를 반영한 배리어프리 공간 구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독일 베를린의 템펠호프 공원(Tempelhofer Feld)은 산업유산을 재생한 공간에서 배리어프리 설계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사례로 유명하다. 폐공항 활주로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이동약자의 접근성을 확보한 대표적 설계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해외 사례: 일본 국립 쇼와 기념공원

      일본 국립 쇼와 기념공원은 국제적 인증을 받은 배리어프리 설계 적용 사례로, ADA 기준을 기반으로 전 구역에 배리어프리 설계를 적용하였다. 주요 설계 특징으로는 자연지형 보존형 경사로, 유니버설 디자인 표준 사인 시스템, 휴게 공간 다양화 등이 있다.

       

      조경학 기반 배리어프리 설계의 미래적 발전 방향

      스마트 배리어프리 설계 도입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배리어프리 설계가 미래 조경 설계의 핵심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IoT 센서를 통한 장애물 감지, 실시간 동선 안내, AR 기반 유도 시스템 도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배리어프리 설계 확산

      친환경 자재 사용, 재생 자원 활용, 지역 문화 요소 반영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설계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이는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조경 설계 방향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