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조경학 이론과 설계를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4. 4.

    by. chloe2

    목차

      1. 조경학 관점에서 본 시각적 경관의 개념과 평가의 필요성

      시각적 경관의 정의와 중요성

      시각적 경관(Visual Landscape)은 인간이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외부 환경의 총체로, 조경 설계와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미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물리적 공간의 구성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공물, 색채, 구조, 지형 등의 복합적인 요소들이 결합된 시지각적 인상이다. 조경학에서는 이러한 시각적 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론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질 높은 경관 설계를 실현하고자 한다.

      경관 평가의 이론적 기반

      시각적 경관 평가의 이론은 환경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 미학(aesthetics), 조형이론(form theory) 등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Appleton(1975)의 전망-피난이론(Prospect-Refuge Theory), Kaplan & Kaplan(1989)의 선호도 이론(Preference Theory) 등이 핵심적인 기초가 된다. Appleton은 인간이 넓게 조망할 수 있는 전망성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피할 수 있는 피난처를 선호한다고 보았고, Kaplan 부부는 ‘이해성(coherence)’과 ‘탐색성(legibility)’이 높은 경관을 더 선호한다고 분석하였다.

      시각적 경관 평가의 목적

      조경 설계에서 시각적 경관을 평가하는 목적은 단순한 미적 판단을 넘어, 계획 초기 단계에서 경관 가치를 파악하고 공간의 변화를 예측하며,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활용하는 데 있다. 예컨대 대규모 공원이나 도시개발 프로젝트에서는 시각적 경관 시뮬레이션과 분석 결과가 정책 결정의 근거 자료가 된다.

      조경학 시각에서 본 시각적 경관 평가기법과 분석 도구

       

      2. 조경학에서 사용하는 주요 시각적 경관 평가기법

      정성적 평가기법: 전문가 및 이용자 기반 접근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전문가의 평가와 일반 이용자의 시지각적 반응을 수집하는 정성적 방식이다. 경관 사진 또는 모형을 제시하고 평가 대상자가 미적 가치, 시각적 흥미, 쾌적성 등을 평가하도록 하는데, 이는 Kelly & Shafer(1974)가 개발한 평가 척도(Visual Quality Rating Scale)가 대표적이다. 이 방식은 주관성이 개입되지만, 사람들의 실제 경험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정량적 평가기법: 시계영역 및 가시권 분석

      GIS(지리정보시스템)와 3D 모델링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하는 시계영역 분석(Viewshed Analysis)은 특정 지점에서 관찰 가능한 범위를 수치화하고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이와 함께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개발로 인한 경관 훼손 여부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된다.

      혼합형 평가기법: 데이터 기반 통합 분석

      최근에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혼합형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VR(가상현실)을 활용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은 이용자의 몰입적 경험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생체 신호 분석(GSR, 시선추적 등)과 결합하면 사용자 반응 기반의 정량·정성 융합 평가가 가능하다.

      기법 비교표

      평가 기법 장점 단점
      전문가 평가법 빠른 판단 가능, 전문성 확보 주관성 개입, 표준화 어려움
      이용자 인식조사 실제 감성 반영, 다양한 층의 의견 수렴 가능 응답자 교육 필요, 수집 시간 소요
      시계영역/가시권 분석 공간 범위 정량화, 객관적 예측 가능 기술적 장비 필요, 감성 요소 반영 한계
      VR+생체신호 혼합기법 몰입도 높고 데이터 신뢰성 향상 장비 비용, 데이터 분석 전문성 요구
       

      3. 조경학 기반 시각적 선호도 이론과 인지적 해석

      시각적 선호도의 심리학적 이론

      Kaplan & Kaplan(1989)은 인간이 선호하는 경관은 인지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해성(coherence), 탐색성(legibility), 복잡성(complexity), 신비성(mystery). 이 요소들은 공간 내 정보의 명확성, 시각적 자극, 예측 가능성, 기대감을 조합하여, 이용자에게 긍정적 경험을 유도하는 기준이 된다.

      경관 이미지 이론과 상징성

      Kevin Lynch의 『The Image of the City』(1960)에서는 도시 이미지의 5가지 구성 요소—경계(edge), 결절(node), 지표(landmark), 경로(path), 지역(district)—가 도시 인지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조경 공간에서도 시각적 구도와 사용자 인지 경로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된다.

      응용 설계 기법

      • 프레이밍(View Framing): 특정 시점에서 원하는 경관이 보이도록 시야를 유도하는 기법
      • 시각축(View Axis): 공간의 방향성과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직선적 경관 구성
      • 배경 및 전경 구성(Foreground-Background Structure): 시선의 집중과 이완을 통해 입체적 경관 조성

      이러한 기법들은 선호도 이론과 결합하여, 이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데 핵심이 된다.

       

      4. 조경학에서 활용하는 시각적 경관 분석 도구

      디지털 기반 분석 기술의 발전

      최근 조경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시각적 분석 도구가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도구들이 있다:

      • Viewshed 분석 (GIS): 특정 지점에서의 시계 범위를 분석
      • DepthmapX (Space Syntax 분석): 시각 연결성과 공간 인지 분석
      • Envi-met: 경관 요소와 미기후 데이터를 결합한 시각적 시뮬레이션 도구
      • Unity, Unreal Engine: VR 기반 시각 시뮬레이션 구축

      생체신호 기반 정량 분석 도구

      시각적 경관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뇌파(EEG), 피부전도(GSR), 심박수(HRV) 등 생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공간 경험을 객관화하는 데 매우 유효하며, 특히 감정적 반응을 수치화해 설계 피드백으로 연결하는 데 효과적이다.

      사례 적용

      예를 들어 서울숲 내 주요 경관 조망점을 대상으로 한 VR 기반 시각적 시뮬레이션 실험에서는 시야 개방성이 높은 구간에서 GSR 반응이 현저히 낮아졌으며, 시선 추적 데이터는 자연 경관이 시각 집중도를 높인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향후 조경 설계 과정에서 과학적 데이터 기반 경관 품질 향상의 단초가 된다.

       

       

      5. 조경학 시각에서 본 시각적 경관 분석의 실천적 활용

      설계 프로세스와의 연계

      시각적 경관 분석은 단지 평가 목적에 그치지 않고, 설계 프로세스의 다양한 단계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된다. 초기 조사 단계에서는 잠재적 조망축 확보와 개발 영향 예측에 기여하며, 중간 단계에서는 조경 요소 배치, 구조물 위치, 수목 선택 등에 실질적 기준을 제시한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주민 의견 수렴 및 시뮬레이션 결과 공유를 통해 프로젝트의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한다.

      정책 수립과 경관계획 반영

      시각적 경관 분석은 도시 경관계획 수립의 핵심 기준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국토부의 『도시경관 가이드라인』에서는 시계영역 분석을 기반으로 한 조망 보호구역 설정, 시각축 유도 원칙, 경관 훼손 최소화를 위한 설계 가이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조경학 기반 시각 분석은 이러한 제도적 틀의 과학적 기반이 된다.

      조경학 교육과 기술 융합

      향후 조경학 교육에서도 시각적 경관 평가기법, 디지털 분석 도구, 환경심리학적 기반의 감성 설계 원리를 통합하는 융합형 커리큘럼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VR, GIS, 생체신호 기술의 활용은 조경 설계자의 데이터 해석 능력과 감성적 공간 연출 역량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수단이 된다. 이는 인간의 경험을 과학과 예술로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조경학의 본질적 강점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