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제테크 내용을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4. 3.

    by. chloe2

    목차

      1.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의 개념과 조경학적 접근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이론적 배경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자연과 연결되기를 바라는 경향성, 즉 "바이오필리아(Biophilia)" 개념에서 출발한다. 이 이론은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Edward O. Wilson)이 1984년 저서 『Biophilia』에서 처음 제안했으며, 인간의 유전자에 자연과의 관계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조경학에서는 이 개념을 공간 디자인 전략으로 확장하여, 이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 건강 증진, 인지 회복 효과를 제공하는 자연친화적 공간 구성에 적용하고 있다.

      조경에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원칙

      조경학적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단순한 자연물의 삽입이 아니라, 생태적 기능과 감각적 체험을 고려한 공간 구성이다. Terrapin Bright Green이 정립한 14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는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직접적인 자연 경험 (Direct Experience of Nature): 식물, 물, 자연광, 동물과의 상호작용
      2. 간접적인 자연 경험 (Indirect Experience of Nature): 자연 재료, 자연 패턴, 자연 이미지 활용
      3. 공간과 장소의 자연적 특성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탐색성, 복잡성과 질서, 지역성 등

      이러한 분류는 단순한 조경 구성 요소를 넘어서, 공간 전체의 구조와 감성 경험을 설계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예컨대, 빛의 흐름, 재료의 촉감, 시야의 확장성까지 설계에 포함시킴으로써 인간과 자연 간의 본질적 관계를 회복시킨다.

       

      2. 자연친화 경관 조성을 위한 설계 전략

      자연 요소의 다감각적 통합

      조경 설계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감각적 요소를 통합한 설계가 필요하다. 청각(새소리, 바람소리), 시각(녹색 식생, 수면 반사), 촉각(자연 재료), 후각(나무향, 풀냄새) 등 감각을 자극하는 요소들은 공간의 회복성을 높인다. 이는 Kaplan & Kaplan의 주의회복이론(ART)과도 연결되며,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감각 기반의 환경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한다.

      설계 사례를 통한 전략 분석

      설계 사례 지역 주요 적용 요소
      Amazon Spheres 미국 시애틀 열대 식물, 곡선형 구조, 자연광 조절 등
      Bosco Verticale 이탈리아 밀라노 입면에 수직 숲 도입, 공기정화 및 조망 기능 강화
      LG사이언스파크 외부조경 대한민국 서울 생태 연못, 다층 식생, 음영 공간 조성

      이들 사례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의 다층적 적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사용자의 신체적·심리적 반응을 유도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게 한다.

      생태적 연결성과 경관 연속성 확보

      자연친화 경관은 생태적 연결성을 담보해야 한다. 이는 도시 내 녹지축 연결, 생태 코리더 구성, 물길 연계 등 공간 간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Richard Forman의 경관생태학 이론은 이러한 공간적 연계성 확보가 도시 생물 다양성 및 인간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조경 설계자는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미시적 디자인과 거시적 네트워크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3.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의 심리·생리적 효과

      인지적 회복과 정신 건강 증진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주의 회복(attention restoration), 스트레스 완화(stress reduction), 기분 안정(mood regulation)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Ulrich et al.(1991)의 스트레스 회복 이론(Stress Recovery Theory, SRT)은 자연 환경이 부정적 감정 상태를 완화하고 긍정적 생리 반응을 유도한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녹색 식생을 포함한 공간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감소, 혈압 안정, 뇌파의 안정화가 관찰되었다.

      생리학적 지표 분석

      최근 연구들은 생리적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바이오필릭 설계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예컨대, Tsunetsugu et al.(2013)의 연구에 따르면, 숲 경관을 시청한 피험자는 도시 경관 대비 더 낮은 코르티솔 수치와 더 높은 심박수 변화율(HRV)을 나타냈다. 이러한 생리적 지표는 조경 설계에서 효과 예측과 피드백을 위한 유의미한 수단이 된다.

      적용 사례와 사용성 평가

      바이오필릭 요소를 활용한 실내외 조경 공간에서의 사용자 만족도는 전통적 공간 대비 현저히 높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학교의 바이오필릭 조경은 학생들의 집중력과 정서 안정에 기여하고, 병원 외부 공간은 회복 기간 단축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자연 요소의 물리적 배치뿐 아니라, 사용자의 동선, 시선 유도, 감성 자극까지 통합한 설계를 통해 극대화된다.

       

      4. 조경학 기반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 원리

      자연 패턴의 도입과 질서감의 설계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 즉 **프랙탈 패턴(fractal pattern)**이나 골든 레이시오(golden ratio) 같은 자연 패턴을 설계에 반영한다. 이러한 패턴은 인간 두뇌가 무의식적으로 선호하는 시각 질서를 형성하며, 시각적 피로를 줄이고 안정감을 제공한다. Nikos Salingaros의 연구에 따르면, 프랙탈 구조를 가진 건축물과 조경은 비프랙탈 구조에 비해 사용자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성(Locality) 기반 설계 전략

      지역 생태와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장소 정체성을 강화한다. 예컨대, 지역 자생종 식물 활용, 전통 재료 및 색채 도입, 지형과 기후 특성 반영 등은 사용자와 공간 사이의 정서적 유대를 높이는 설계 전략이다. 이는 Edward Relph의 장소성 이론과도 맞닿으며, 조경학에서 지역성 기반 설계는 공간의 독창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주요 수단이다.

      복합 환경 설계를 통한 감성적 체험 강화

      효과적인 바이오필릭 조경은 단일한 자연 요소를 넘어서, 사용자 감각을 자극하고, 다양한 경험을 유도하는 복합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자연광의 유입, 바람의 흐름, 물의 흐름 등 물리적 요소뿐 아니라, 공간 구조적 개방감, 숨겨진 경관의 탐색성, 사계절에 따른 변화성도 주요한 설계 요소이다. 이는 환경심리학의 '미스테리와 매혹(mystery & fascination)' 이론과 연결되며, 지속적 관심 유도와 감정적 몰입을 유발한다.

       

      5.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미래와 정책적 방향성

      지속가능한 도시계획과의 통합

      기후 변화와 도시화의 가속화는 도시 환경에 바이오필릭 전략을 통합할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도시 조경은 생물 다양성 유지, 미기후 조절, 탄소 저장 등의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시민의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다기능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Green Infrastructure' 개념과 연계된 바이오필릭 조경 설계는 도시계획의 핵심 축이 되고 있다.

      글로벌 정책 흐름과 바이오필릭 적용

      국제적으로는 싱가포르의 '시티 인 어 가든(City in a Garden)' 정책이 대표적인 바이오필릭 도시 전략이다. 미국은 LEED 인증에서 바이오필릭 요소의 적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유럽연합도 도시 녹지 확보와 생물다양성 전략을 연계하여 바이오필릭 설계를 권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도시숲 조성, 학교숲 만들기, 치유의 숲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 중이며, 이를 보다 전략화하기 위해 조경학적 접근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조경 설계 교육과 바이오필릭 전문성 강화

      향후 조경학 교육에서는 생태학, 환경심리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 역량을 갖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시뮬레이션, GIS 기반 생태 분석, 생리적 반응 측정 기술 등이 조경 설계에 접목되며, 데이터 기반 바이오필릭 설계로의 진화가 요구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조경학의 새로운 표준이자, 인간과 자연의 지속 가능한 관계를 회복하는 미래형 디자인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조경학 기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원리와 자연친화 경관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