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제테크 내용을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4. 3.

    by. chloe2

    목차

      1. 조경학 개념으로 본 트랭퀼리티의 정의와 심리적 이론

      트랭퀼리티의 개념과 조경학적 의미

      트랭퀼리티(Tranquility)는 고요함, 평온함, 정적 등의 개념으로 번역되며, 조경학에서는 이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회복을 제공하는 공간의 질적 속성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트랭퀼리티는 소음으로부터의 거리, 자연 요소의 풍부함, 시각적 차폐성, 온화한 음향 환경 등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조경학에서는 이 요소들을 설계의 중요한 지표로 삼아, 도시의 소음 오염과 시각적 자극 과잉으로부터 사용자를 해방시키는 공간을 계획한다.

      이론적 배경: 트랭퀼리티의 심리적 구조

      영국의 환경심리학자 Gregory Watts 등은 트랭퀼리티의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자연성(Presence of Nature): 식생, 물, 자연 소리 등
      • 소음 회피(Soundscape Control): 교통소음, 기계음 차단 정도
      • 시각적 피난처(Visual Refuge): 가림막, 식생차폐 등을 통한 시각적 안정
      • 정체성(Place Identity): 공간이 가지는 역사성, 문화성, 의미성

      특히 환경소음학(acoustic ecology)과의 연계가 강조되며, 도시 설계에서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를 고려한 공간 배치가 조경 전략에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관련 이론과 학술적 검토

      1. Ulrich의 스트레스 회복 이론(SRT): 부정적 감정 상태의 완화와 긍정적 생리 반응 유도에 있어 조용하고 자연적인 환경이 효과적임을 실증
      2. Kaplan의 주의회복 이론(ART): 트랭퀼리티 환경은 탈출성(being away)과 매력성(fascination)을 통해 인지 자원의 회복을 지원
      3. White & Gatersleben(2011): 영국 도시 공원에서 트랭퀼리티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들의 스트레스 지수가 낮다는 통계적 상관관계를 제시

      이러한 이론들은 트랭퀼리티가 단순한 느낌을 넘어서, 신경생리학적 회복 메커니즘과 직결된 공간 특성임을 보여준다.

      2. 조경학 설계 요소로 구현하는 트랭퀼리티 공간 전략

      공간 구성 전략의 핵심

      트랭퀼리티를 구현하기 위한 조경 설계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음향적 완충지대(Acoustic Buffer): 수목림, 토언덕, 방음벽 등 소음 차단 장치
      • 물 요소(Water Features): 수경 시설, 분수, 자연 하천 등을 통한 백색소음 제공
      • 공간 차폐(Visual Shielding): 식재 밀도, 조경 구조물로 외부 시각 자극 차단
      • 자연 감각 자극(Sensory Design): 새소리, 향기식물, 촉각 식생 등 감각 통합 설계

      식생 계획과 수종 선택

      트랭퀼리티 조성을 위한 식생은 단순히 녹지 비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음향 흡수력, 계절 변화, 향기 유무, 시각적 밀도 등을 고려해 수종을 계획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재 전략이 효과적이다:

      • 저음 흡수 능력이 높은 상록 교목(예: 측백나무, 전나무)
      • 은은한 향기를 제공하는 화목류(예: 라벤더, 박하, 산수국)
      • 바람에 흔들리는 잎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낙엽수(예: 자작나무, 버드나무)

      트랭퀼리티 조경 요소 비교표

      조경 요소 주요 기능 기대 효과
      방음 수벽 소음 차단 + 시각적 수경 효과 정서 안정, 시각적 냉각 효과
      향기 식물 정원 후각 자극 및 계절성 부여 스트레스 완화, 감정 안정
      은신처형 쉼터 시각적 차폐 + 개인적 공간 구성 프라이버시 제공, 몰입적 경험 유도
      음향 반사 구조물 자연 소리 반향 및 음파 조절 백색소음 증폭, 음향 정체성 형성

      이러한 전략은 공간 전체의 통합적 연출이 필요하며, 물리적 구조물과 생태적 요소 간의 균형을 통해 트랭퀼리티 수준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조경학 기반 트랭퀼리티 설계의 생리적 효과와 데이터 기반 분석

      생리적 반응으로 본 트랭퀼리티

      트랭퀼리티 환경은 인간의 생리적 반응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특히 심박수 감소, 피부전도 반응(GSR) 완화, 코르티솔 농도 감소 등은 조용하고 자연 중심적인 공간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이다.

      • Tsunetsugu et al.(2007): 삼림욕 후 참가자들의 혈압과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아짐.
      • Ulrich(1991): 병원 환자들이 창밖으로 나무를 볼 수 있을 때 회복 기간이 짧고 진통제 사용량이 감소함.

      이러한 결과는 트랭퀼리티 공간이 회복 중심 환경(Healing Environment)의 필수 조건임을 보여준다.

      데이터 기반 분석 기법의 적용

      조경학에서는 이러한 생리 반응을 객관화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분석 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다음이 있다:

      • EEG(뇌파 분석): 감정 상태와 집중도, 이완 반응 분석
      • GSR(피부전도도): 스트레스 반응 측정
      • HRV(심박변이도): 교감·부교감신경계 활성도 비교

      이러한 데이터는 트랭퀼리티 설계 전후 공간의 비교 분석이나 사용자 피드백 루프에 활용되어 설계의 객관성과 효과성을 높인다.

       

      4. 조경학에서 활용 가능한 트랭퀼리티 설계 기법 비교

      기법별 적용 대상과 설계 조건

      트랭퀼리티를 조성하는 조경 설계 기법은 공간의 규모, 맥락, 이용자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된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비교가 필요하다:

      설계 기법 적용 공간 적합 조건 대표 요소 예시
      소리 차단형 설계 도심 공원, 병원 외부 공간 고밀도 소음 환경, 교통량 많은 지역 수벽, 방음림, 음향 반사벽
      몰입 체험형 설계 산책로, 치유의 숲 정적 이용자 다수, 장시간 체류 가능 공간 감각 자극 식물, 자연 경관 뷰포인트
      정체성 기반 설계 문화재 인접지, 공동체 정원 장소성 강조, 커뮤니티 기반 지역 식생, 전통 요소 반영

      기법 조합의 유연성

      실제 설계에서는 단일 기법보다 복합 기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도시 숲에서는 방음 수단과 몰입 경관을 함께 구성하고, 치유 공간에서는 정체성과 감각 자극을 동시에 고려한다. 따라서 트랭퀼리티 설계는 단일 솔루션보다 다층적 해석과 맥락 기반 적용이 핵심이다.

      5. 조경학적 트랭퀼리티 공간의 실천 사례와 정책 방향

      국내외 사례 분석

      • 싱가포르 힐링 가든: 병원 단지 내에 조성된 트랭퀼리티 중심 치유 정원으로, 향기 식물과 수경 시설이 통합됨
      • 서울 숲 리버워크: 한강과 연결되는 조용한 산책로로, 수변 식생과 그늘 쉼터를 통해 정서 안정 효과 유도
      • 런던 헴스티드 히스: 넓은 개방형 녹지와 고요한 연못, 하늘 뷰포인트가 조합된 도시 속 휴식 공간

      정책과 설계 지침의 방향

      • 국토교통부의 『경관 가이드라인』에는 트랭퀼리티 평가 항목을 도입하여, 공공공간 설계 시 정량화 가능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도시녹지기본계획, 학교숲 조성, 병원 외부 환경 가이드 등에 트랭퀼리티 요소가 명시적으로 반영되어야 함
      • 지방정부 차원의 트랭퀼리티 존 지정 제도를 통해 소음 관리, 사운드스케이프 보호구역 설정 등을 제도화 가능

      미래를 위한 조경학의 역할

      트랭퀼리티는 단순한 조용함이 아닌,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위한 복합 환경 전략이다. 조경학은 이 복합성을 해석하고 설계로 실현할 수 있는 학문으로, 향후 웰니스 디자인, 정신건강 중심 도시계획, 생태-심리 통합 설계로 확장될 수 있다.

      조경학 기반 트랭퀼리티(Tranquility) 조경 설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