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조경학에서 본 도심 공터의 임시조경(Pop-up Landscape) 전략: 서론
도시의 틈을 채우는 조경학의 새로운 역할
도심 속 공터는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부산물이다. 건축물 철거 이후, 재개발 지연, 주차장 변형, 기반시설 재정비 대기 공간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 공터들은 일시적으로는 방치되지만, 도시 맥락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심 공터를 대상으로 한 조경 전략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임시조경(Pop-up Landscape)'이다. 이는 단기적 개입을 통해 공터의 공간적·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조경학적 접근이다.
임시조경은 조경학적으로 단순한 임시 녹지 조성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는 시민의 일상 속 삶의 질을 회복시키고, 도시 내 생태적 흐름을 보완하며, 공동체 중심의 공간으로 재기능화하는 복합적 설계전략이다. 특히 임시조경은 이동성, 유연성, 참여성이라는 세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전통적인 영구 조경설계와 구별되는 핵심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이러한 개념은 미국의 The High Line Project(뉴욕), 캐나다의 Parking Day(밴쿠버), 한국의 서울로 7017 임시 조성 프로젝트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조경학 이론에서도 이 전략은 공간의 가역성(reversibility), 임시성(temporality), 전이적 도시 공간(transitional urban space) 개념과 연결된다. 이러한 이론들은 Trancik(1986)의 '잃어버린 공간(Lost Space)' 이론, 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론, Corner의 Field Operation 이론 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도시 조경의 새로운 전개 방향을 설명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심 공터의 임시조경은 단순한 공간 채움이 아니라, 조경학이 제안하는 도시 회복력 강화 전략이자 공공성을 회복하는 매개로써 이해될 수 있다.
조경학 기반 임시조경 전략의 개념과 설계 원칙
1. 공간의 가역성과 재조정 가능성 중심 설계
임시조경은 도시 공간의 영속적 사용이 아닌, 유동적인 도시 구조 속에서의 탄력적 사용을 전제로 한다. 이는 조경학에서 말하는 '가역적 설계(Reversible Design)'와 '순환형 조경 계획(Cyclic Landscape Planning)'과 직결된다. 임시 구조물, 모듈형 식재 구조, 접이식 퍼니처 등이 이를 실현하는 주요 도구다. 이러한 구성은 공간의 목적이 변경되거나, 개발이 진행될 경우 철거 및 이전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는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공간 효과를 구현하는 전략으로 발전된다.
또한, 임시조경 설계는 공간적 정체성(spatial identity)을 부여하면서도, 추후 공간이 재개발되거나 영구 시설로 변경될 때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조경학에서 말하는 '공간 전이의 설계(strategy of spatial transition)' 개념으로, 도시 설계의 가변성과 적응성을 담보하는 핵심 기제다. 이 설계 접근은 특히 도시계획 상 불확실성이 높은 지역에서 공간 실험의 장을 제공하는 긍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2. 시민 참여 중심의 조경 프로그래밍
임시조경의 성공 여부는 공간 이용자, 즉 시민의 참여와 반응에 크게 좌우된다. 조경학에서는 이를 '참여형 조경설계(Participatory Landscape Design)'라고 하며, 물리적 설계뿐만 아니라, 시민이 자발적으로 공간을 점유하고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팝업 가든, 이동형 벤치, 가변형 파빌리온 등은 도시인들이 공간을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며, 이는 도시민의 공간에 대한 애착도와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조경학적으로는 Jane Jacobs의 '도시의 눈(eyes on the street)' 개념, Gehl의 공공 공간 활성화 이론 등과 연결되며, 안전성과 커뮤니티 회복이라는 공공적 목적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임시조경은 이처럼 시민 중심의 설계 철학을 실현하는 이상적인 매개체이며, 도시 조경이 물리적 구조를 넘어서 사회적 플랫폼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3. 임시조경 요소별 조경학적 설계 기준 정리
아래 표는 대표적인 임시조경 구성 요소에 대한 조경학적 기준과 공간 적용 전략을 요약한 것이다.
구성 요소 조경학 개념 설계 전략 및 적용 예시 이동형 플랜터 가역성, 생태기반 식재 자생종 식재, 경량화 구조, 재배치 용이 모듈형 퍼니처 탄력적 공간 구성, 기능적 가변성 조립식 구조, 사용자 필요에 따라 배열 조정 가능 팝업 파빌리온 임시 구조, 도시 실험 플랫폼 커뮤니티 이벤트 공간, 이동 전시회, 쉼터로 활용 도시 텃밭 식물 기반 커뮤니티 조경 공동체 중심 프로그램 연계, 시민 자발 참여 기반 조경학 기반 임시조경의 국내외 사례 분석과 전략적 시사점
1. 글로벌 도시의 임시조경 실험과 전개 사례
임시조경은 세계 각지의 대도시에서 도시 공간의 가변성과 공공성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 뉴욕의 ‘Times Square Pedestrian Plaza’가 있다. 원래 자동차 전용 도로였던 이 공간은 자전거 도로와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일시 전환되었으며, 모듈형 플랜터, 이동식 가구, 천막 구조물 등 임시조경 기법이 적용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공공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면서 이후 영구적 광장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독일 함부르크의 ‘Park Fiction’ 프로젝트는 시민 주도의 임시조경 사례로 유명하다. 이곳은 공터에 잔디 매트, 조립식 벤치, 예술 요소를 임시 설치하여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공간을 점유하도록 기획되었고, 이는 장기적으로 도시계획에 반영되어 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임시조경이 단순한 중간 단계가 아닌,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도시 구조의 방향을 시험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국내 사례와 조경학적 한계 및 확장 가능성
국내에서는 서울시가 주도한 ‘서울로 7017’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임시조경 실험 사례로 평가된다. 이 프로젝트는 철거 대상 고가도로를 보행자 공원으로 전환한 것이며, 초기 단계에서는 식재 컨테이너, 팝업 벤치, 이동형 부스 등으로 구성된 임시조경 요소를 통해 공간 기능을 시험하였다. 이후 이용자 분석 및 시민 설문을 거쳐 영구 조경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수의 국내 임시조경은 단기 이벤트성 설치에 그치거나, 철거 후 자원 회수가 미비하여 지속가능성과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조경학적 관점에서 사후 활용 전략, 공간 전이 설계, 지속가능성 고려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임시조경을 공간 실험 및 도시 재생 전략으로 통합하는 방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아래 표와 같은 계획 지침이 고려될 수 있다.
분류 해외 사례 국내 사례 조경학적 평가 실험성 Times Square (미국) 서울로7017 (서울) 도시 공간 반응 확인 및 전환 모델 제공 참여성 Park Fiction (독일) 성수동 컨테이너 팝업(서울) 시민주도 설계 가능성 확인 지속성 Paris Plages (프랑스) 청계천 임시문화공간(서울) 장기 활용 고려 부족으로 전환 실패 다수 조경학에서 바라본 임시조경의 도시 생태계 기능과 기후 회복 전략
1. 임시조경의 녹지 기능과 생태적 가치
임시조경은 비록 한시적일 수 있으나, 도시 내 생태계 흐름을 보완하는 중요한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조경학에서는 이를 ‘도시 임시 생태계(Urban Temporary Ecology)’라고 지칭하며, 야생종의 임시 서식처, 조류 휴식처, 곤충 서식 공간 등의 역할을 부여한다. 특히 도시 생태축이 단절된 구간에서 임시조경을 통해 생물 이동 통로의 기능을 회복하거나, 생태적 완충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생물다양성 도시(BiodiverCity) 전략 및 녹색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와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자생 초화류를 이용한 플랜터 배치, 야간 조명 최소화 설계, 우수 저장 플랜터 등을 통해 조경학적 생태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으며, 이는 UN-Habitat의 도시 생태계 지침에서도 강조되는 요소다.
2. 기후위기 대응 도시조경으로서의 역할
임시조경은 도시 기후 회복력(Urban Climate 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조경학에서는 폭염 완화, 열섬 저감, 탄소흡수 기능을 단기적으로라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응급 녹지 대응(emergency greening)'이라 표현하며, 이는 기후위기 시대 도심 조경의 유연성 측면에서 핵심이다. 이동식 그늘막, 증발산 식재, 미세먼지 흡수 수종을 배치한 팝업 정원은 도시민의 건강과 쾌적성을 보호하는 실질적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고령화가 심화되는 도시에서 이동 가능한 플랜터 벤치는 고령자 휴식 공간으로도 기능하며, 이는 조경학에서 말하는 '사회적 약자 조경 지원(Socially Inclusive Landscape Planning)'의 대표 사례가 된다. 따라서 임시조경은 단순한 녹지 채움이 아닌, 복합적 도시 회복 전략으로서 그 가치가 확장된다.
조경학 관점의 임시조경 유지관리 및 공간 전환 모델
1. 사후 활용과 공간 전환의 전략화
임시조경은 그 성격상 '언젠가 철거될 공간'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조경학에서는 이 공간을 어떻게 영속 가능하게 전환할 수 있을지를 중심 과제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공간의 모듈 구성, 유닛 기반 구조물, 데이터 기반 피드백 설계 등이 필수적이다. 사용 빈도, 이용 유형, 시민 피드백 등을 측정하여 조경 구조를 영구 조성이나 타 공간으로 이전하는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의 ‘Meanwhile Gardens’는 일시적 텃밭 프로젝트였지만, 이후 사용자의 높은 참여율과 지역 커뮤니티 형성으로 인해 도시계획상 ‘지속가능 녹지 공간’으로 지정되었다. 이처럼 임시조경의 성공은 사후 관리 전략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한 조경학적 모델 구축이 필수다.
2. 유지관리 주체 및 법제 기반 확보
임시조경은 유지관리 주체가 불분명할 경우 급속히 훼손되거나 방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경학에서는 유지·관리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제도 설계가 강조된다. 민간 건설사, 지자체,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유지관리하는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며, 이는 ‘공유조경(Shared Landscape Stewardship)’ 개념과 연결된다. 또한 ‘도시조경 유지관리 조례’ 내에 임시 공간 항목을 신설하고, 임시조경의 행정 절차와 지속 가능성 평가 기준을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지관리 예산이 안정적으로 투입되어야 공간의 품질이 보장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시민 신뢰 확보와 도시환경 관리 효율성 제고로 이어진다. 조경학적 차원에서는 유지관리의 디자인 전략화, 예측 기반 재배치 설계 등도 병행되어야 한다.
미래 도시 조경학에서 임시조경이 가지는 전략적 의미와 확장성
1. 도시 유휴공간 활용 전략의 전환점
임시조경은 향후 도시 계획의 핵심 축인 ‘유휴공간의 회복적 전환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조경학은 도시 공간의 잠재력을 가시화하고, 비어 있는 공간을 통해 도시의 미래를 시험하는 학문적 실천이다. 특히 스마트시티, 지속가능 도시, 회복력 도시라는 키워드 하에서 임시조경은 시범 기반 공간의 역할을 하며, 도시 계획의 리빙랩(Living Lab)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시조경이 단순 조형물을 넘어서, 데이터 기반 운영 시스템, 시민 인터페이스, 도시 의사결정 플랫폼과 통합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조경학은 기술과 사회, 생태를 통합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학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
2. 교육·문화·복지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
임시조경은 도시 재생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복지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정원은 학교의 생태교육 공간으로, 팝업 팜은 도심 내 식량 자립 실험 공간으로, 쉼터형 조경은 이동 약자를 위한 복지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주제형 임시조경(Programmatic Pop-up Landscape)’ 개념으로 구체화되며, 도시 조경의 적용 범위를 넓히는 중요한 모델이 된다.
결론적으로 조경학에서 본 임시조경은 도시의 회복성과 유연성을 설계하는 핵심적 실천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조경이 가지는 대응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보여주는 장치다. 앞으로 임시조경은 일시적 해결책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도시 조경의 촉매제로서 더욱 확장될 것이다.
'조경학 이론과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학 기반 재난 대응형 조경 공간과 회복 시나리오 설계 (0) 2025.05.17 조경학 시각의 에코 브릿지 조성 전략과 생물 이동 통로 계획 (0) 2025.05.16 조경학 기반 정원치료(Horticultural Therapy) 공간 설계 원리 (1) 2025.05.16 조경학에서 분석하는 교정시설 조경과 치유 기능의 조화 (0) 2025.05.15 조경학 관점에서 본 고속도로 휴게소 경관 조성 전략 (1)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