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loe2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조경학 이론과 설계를 전달해드리는 클로이의 블로그입니다.

  • 2025. 5. 14.

    by. chloe2

    목차

      조경학 관점에서 본 지하공간 상부 조경의 개념과 도시적 맥락

      1. 지하공간 상부 조경의 정의 및 조경학적 필요성

      지하공간 상부 조경(Subterranean Space Top Landscape)은 지하주차장, 지하철 정거장, 지하 복합시설 등 다양한 지하 인프라 구조물 위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여 녹지 및 조경 설계를 실현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조경학적 관점에서 이 공간은 단순히 인공 구조물 위에 조경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내 토지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생태적 연속성을 확보하며, 시각적·심리적 완충 지대를 제공하는 복합 기능의 설계 대상을 뜻한다.

      지하공간 상부는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식생 생육 조건이 제한되며, 토심 부족, 배수 문제, 하중 제한 등의 기술적 요소가 중첩되어 조경학적으로 고도의 설계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조경 설계자는 생태공학적 기법(Ecological Engineering)과 경량토양시스템(Lightweight Soil System), 배수 구조 및 관개 시스템 설계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도시조직 내에서 지하공간 상부는 시각적으로 중요한 보행 축, 공공 광장, 열린 녹지로서 기능해야 하므로, 조경학에서는 ‘복합 도시피복(Green Urban Overlay)’의 개념으로 이 공간을 접근한다. 이는 도시 인프라와 자연 요소가 공존하는 복합 경관으로, 구조적 안정성과 심미적 완성도를 동시에 달성하는 조경 전략이 필수적이다.

      2. 도시 맥락에서 지하공간 상부의 활용 유형 분류

      조경학적으로 지하공간 상부 조경은 도시공간의 특성과 입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 보행 중심형: 도심 광장이나 복합문화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경관 품질 및 체류성을 중심으로 설계.
      • 공공녹지 연계형: 도시 공원의 연장선으로 기능하며, 생태 네트워크 및 휴식 기능을 강조함.
      • 상업·교통 혼합형: 복합 상업시설이나 교통허브 위의 상부공간으로, 경관의 상징성과 유동 인구 대응이 중요함.

      이러한 유형은 각각의 도시적 요구 조건과 기술적 한계를 고려하여 맞춤형 조경 설계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구조적 하중 분산과 배수 계획, 유지관리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설계 프레임이 구축되어야 한다.

       

      조경학 기반 지하공간 상부 조경의 식생 전략과 생태적 구조

      1. 토심 조건과 식생 선택의 조경학적 기준

      지하공간 상부에서 조경 식생을 도입할 경우 가장 큰 기술적 제약은 제한된 토심(soil depth)이다. 일반적으로 교목은 최소 100cm 이상의 토심이 필요하나, 지하구조물 상부는 이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조경학에서는 수종 선택 시 ‘뿌리 분산형 식생(Radial Rooting Plants)’ 및 ‘저토심 적응 수종(Low Depth Adaptive Species)’을 중심으로 계획해야 한다. 예컨대, 산딸나무(Cornus kousa), 화살나무(Euonymus alatus)와 같은 관목류는 얕은 토심에서도 안정적 생육이 가능하며, 미세기후 적응성도 뛰어나다.

      토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는 ‘경량 토양(Lightweight Soil)’ 및 ‘모듈형 토양 시스템(Modular Soil Tray System)’이 대표적이다. 경량 토양은 펄라이트, 피트모스, 코코피트 등 비중이 낮은 무기·유기 혼합물을 기반으로 하여 하중을 줄이면서도 양분과 보수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량 토양은 식물의 초기 활착률을 높이며, 침투성 및 배수성도 뛰어나 지하공간 상부 조경에 적합하다.

      2. 생태적 네트워크 강화와 지속가능성 확보

      조경학은 생물다양성과 도시 생태축의 연결을 강조한다. 지하공간 상부는 지형적 단절을 극복하고 인공 구조물 위에 생태적 연속성을 부여하는 전략적 경관 노드로 작용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 요소가 필수적이다:

      • 식생 군집 다층화: 지피·초본·관목·소교목 등 다양한 층위의 식생을 구성하여 도시 생물서식처 확보.
      • 수분 및 수생 식생 도입: 조경 수로와 함께 수생 식물 도입으로 생태 다양성과 미세기후 개선 도모.
      • 곤충 및 조류 서식지 유도: 텃새 유입과 꿀벌류, 나비류의 순환 서식이 가능하도록 지역종 중심 식재 적용.

      이러한 생태적 전략은 장기적으로는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기후변화 대응형 조경 설계로서도 기능한다. 조경학적으로는 이러한 방식이 도시 레질리언스(Urban Resilience)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조경학에서 본 지하공간 상부의 경관 심미성과 시각 구조 설계

      1. 조형 언어로서의 경관 설계

      지하공간 상부는 대부분의 경우 도심 속 개방 공간으로 기능하며, 이에 따라 경관의 심미적 완성도는 도시 경관의 품격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조경학에서는 이를 ‘경관 조형 언어(Landscape Morphological Language)’로 해석하며, 형태, 재료, 색채, 텍스처 등의 구성 요소가 통합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곡선형 플랜터, 투시적 동선, 자연석 마감과 같은 요소는 시각적 풍부함과 감성적 인지를 동시에 유도한다.

      시각 구조 측면에서는 ‘다중 시점 구조(Multi-viewpoint Structure)’와 ‘심층 조망 구도(Deep Framing)’가 중요하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시야가 점진적으로 열리고, 변화하는 경관 경험을 유도하는 설계 기법으로, 심미성과 몰입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구조물 위의 평탄한 공간에 볼륨감과 공간감을 부여하는 식재 디자인이 중요하며, 층위별 플랜터 및 수직 조형물의 배치는 시각적 피로를 줄이고 경관의 리듬감을 높인다.

      2. 사례를 통한 시각 전략 고찰

      서울 청계광장, 일본 롯폰기힐스의 모리타워 광장, 싱가포르 ION Orchard 상부 광장 등은 대표적인 지하공간 상부 조경 사례로, 공간의 중심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시각적 상징성과 공공성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경관 디자인의 리듬, 식재의 계절감, 포장재의 질감, 수경 요소의 반사 효과 등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며 도시의 상징적 경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조경학적 관점에서의 구조·배수·경량토양 시스템 통합 전략

      1. 하중과 배수, 구조 안정성의 통합 설계

      지하공간 상부 조경 설계 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구조 하중 제한과 배수 시스템의 설계이다. 조경학에서는 이 두 요소를 통합하여 ‘하중 분산형 경량 조경 시스템(Load-Distributed Lightweight Landscape System)’으로 접근한다. 설계자는 구조 엔지니어와 협업하여 지지 보강판, 콘크리트 슬래브 위 경량 성토 시스템, 집수구와 수로 연계 배수 체계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

      2. 시스템 통합 사례 및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 기능 조경 설계 시 고려사항
      경량 토양 식생 활착, 하중 저감 유기물 혼합비, 침투성 및 양분 보유력 조정
      배수 매트 과잉 수분 배출 수직 배수구 위치와 연계, 포장면 침투율 고려
      루트바리어 식물 뿌리 확산 방지 구조물 손상 예방, 내구성 재질 사용
      구조 보강판 하중 분산 식재 위치에 따라 보강 강도 조정 필요

      이러한 시스템 통합은 단순한 기술 조합을 넘어서 공간 사용자의 체험 질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기반으로 작용하며, 조경학적으로는 ‘경관-구조 연계 설계(Landscape-Structure Integrated Design)’의 한 축으로 평가받는다.

       

      조경학 기반 지하공간 상부 조경의 사용자 경험 및 환경심리 설계 전략

      1. 사용자 중심 설계를 위한 환경심리적 접근

      지하공간 상부 조경은 단순한 경관 조성을 넘어 사용자와의 심리적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하는 공간이다. 조경학은 환경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의 이론을 차용하여 사용자의 감성, 인지, 행동을 유도하는 조경 전략을 설계에 반영한다. Kaplan과 Kaplan의 '주의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은 복잡한 도시환경 속에서 자연 경관 요소가 사용자의 심리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론은 지하공간 상부에서도 유효하게 작용하며, 물소리, 잎의 흔들림, 그늘, 시각적 개방성 등으로 구성된 조경 요소가 도시인의 스트레스 저감에 효과적이다.

      사용자 체류를 유도하는 조경 전략으로는 경관 내 '행태 유도 요소(Behavioral Cues)' 배치가 있다. 이는 이용자의 동선이나 휴식 장소를 암묵적으로 안내하는 시각적 및 물리적 장치로, 예를 들어 잔디의 곡선, 평상형 벤치, 자연스럽게 형성된 길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조경학적으로 이러한 유도는 '공간 구조화(structuring)'와 '정보 제공(informing)'이라는 이중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경험 흐름을 유도하는 체험 중심 설계 기법이다.

      2. 체류 공간과 이용 만족도 향상을 위한 조경 장치

      조경학에서는 공간의 질(Quality of Place)이 사용자 만족도 및 공간 사용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특히 지하공간 상부는 인공적인 구조물 위에 형성된 공간이므로, 이를 자연적인 감각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다. 주요 조경 장치로는 다음이 있다:

      • 시각 프라이버시 확보: 식재를 통해 시야를 차단하여 심리적 안정성 부여
      • 음향 조경(soundscape) 설계: 인공 수로, 잎의 부딪힘 소리 등 청각 자극을 활용하여 몰입감 증대
      • 조명 설계: 야간 이용을 고려한 간접 조명, 수목 조명, 보행유도 조명 등의 활용
      • 계절감 부여: 사계절 변화가 느껴지는 식재 설계를 통해 시간의 흐름 인지 유도

      이러한 전략은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고, 공간에 대한 기억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장기적인 공간 애착(place attachment)을 유도한다. 이는 조경학이 공간을 통해 인간의 감정과 행태를 유도하는 환경심리 기반 설계학문이라는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지하공간 상부 조경은 기술적 조형을 넘어, 체험 중심의 감성 조경 설계가 요구되며, 조경학은 이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실천적 프레임을 제공한다.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경험 흐름과 감정 곡선을 설계로 구현하는 전략은 향후 조경학이 나아갈 감성 도시 설계(Empathic Urban Design)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조경학에서 본 지하공간 상부 조경의 미적·기능적 전략